하나 알아볼려는데 저평가 글만 있어 

화나서 만든  글

복리란? 너만 아냐? 나도 알자 느낌 있게 이해시키기

 

오늘은 Z세대 들의 경제박식을 만들기 위한

 

금융문맹 벗어나기 1편 2장


우리 세대들은 내가 원하는 정보만 얻으면 되기에 검색을 하지만

 

요즘 찾으려 해도 쓸데없는 정보가 너무 껴있고 이해도 못해서 직접 만드는 ( 항상 이해 못한 1인 ) 

- 이걸 몰라? 경제용어 90가지(초보자용)-

 

 

바로 시작


 

복리란?

 

네이버지식 복리에관한설명

자. 나도 이거 가지곤 모르겠다 

 

하지만 주위에서 복리가제8대의 불가사의라고 한다.

 

복리를 이해하고 사용하면 너는 부자가 될 수 있을 거라고 했다.

 

복리의 개념 짧게 설명하고 가자.

 

1. 내가 1,000원을 저축했다. 그럼 은행에서 1년 뒤에 10퍼센트 금리로 1,100원으로 준다.

https://generationzone.tistory.com/7

(아, 금리를 모르는 사람이면 내가 포스팅한 링크를 타고 보고 오면 바로 뇌에 꽂힐 것이다. )

 

2. 그러면 이게 뭐지? 금리다. 나는 100원의 이자를 받았다.

 

(근데 우린 기부니가 좋아서 받은 이자로 까까를 사 먹겠지?ㅎㅎ)

 

그러면 끝이지만

 

복리라는 것은 나의 화려한 미술 솜씨를 이용해

 

복리설명을 위한 그림

 이런 식이다 내가 말하고 싶은 거는

 

(이자, 소득을 까까먹는데 쓰지 말고 다시 저축시키면 너는 이번엔 1000원이 아닌 무려 1,100원을 저축하는 거다)

 

그럼 동일 과정으로 너는 다음번 저축 시 금리 10% 기준으로

1,100+10%: 1210원 을 받는 거다 ㅇㅋ? 초간단

 

그럼 이걸 우린 어떻게 사용하느냐 

 

  1. 주식으로 번 돈으로 다시 재투자한다 (원금+수익) : 영원히 불린다 
  2. 금리가 좋을 땐 적금을 넣고, 은행에 다시 이자 그대로 예금으로 넣는다 (대신 까까 사 먹지 말기)
  3.  마찬가지 투자로 인해 얻은 수익을 다시 넣어서 계속 뿔린다 (내가 하는방법:주식복리,투자복리이자)

 

그럼 어떻게 되냐고? 처음에는 미미 할 거다 그런데

 

복리스노우볼 설명그림

이해하겠는가?

 

하지만 제일 중요한 건

 

금융지식을 모르는 사람이면 요즘 시대에도

적금 OR 예금이란 것을 들고 저축을 할 것이다

 

이것은 상당히 잘못된 방식이다

(지금과는 맞지 않다)

 

왜냐고?

 

1. 요즘 시대엔 옛날에 보지 못한 초초 초초 저금리 시대이다.

2.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저금을 해두면 이자가 아니라 매년 손해를 본다. 

3. 우리 부모님 세대에선 금리가 10%대 육박하니 부모님은 저축을 하라고 하신다.(그땐 그게 맞으니까)

 

솔직히 초저금리 시대에는 투자를 해서 돈을 버는 게 가장 쉬우면서 어려운 현명한 방법이다

 

근데 막 주위 사람들이 땡떙~주식이 좋다

이런 건 다 멍멍 소리다

이미 그것은 인기가 많은 주식이라 곧 떨어질 주식이니까.

 

결론은

 

1. 복리이자를 알면  처음엔 미미해도 스노우볼(SNOWBALL) 효과로  우리의 돈은 엄청 커진다.

 

2. 까까를 사 먹지 말고 투자, 은행이자로 인해 얻은 것은 다시 주식 복리, 투자 복리를 이용하자

 

3. 이 블로그를 공감과 이웃을 하면 이런 개꿀 지식을 많이 얻을 수 있다.

 

4. 나가서 복리에 대해 아는 척을 하고 이 블로그를 추천해주자!!

 

 

 

 

콘텐츠의 목적은 최대한 가볍고 편안하게 재미나게 이해하고 얻어 갈 수 있게끔 제작되었습니다.

읽느라고 고생했어요 다들 그럼 이만 다시 올게요

썸네일용

하나 알아볼려는데 저평가 글만 있어 

빡쳐서 만든 Z세대를 위한 글

'금리' Z세대를 위한  느낌있게 3분10초컷 이해시키기

 

오늘은 Z세대 들의 경제박식을 만들기 위한

금융문맹 벗어나기 1편 1장

 

우리 세대들은 내가 원하는 정보만 얻으면 되기에 검색을 하지만

 

요즘 찾으려 해도 쓸데없는 정보가 너무 껴있고 이해도 못해서 ( 항상 이해 못한 1인 ) 

 

이것만 알아도 경제지식 동년배한테 가오 필굿.

 

최~~~ 대한 급식들도 이해하기 쉽게 만들겠음.

 

그래서 이 콘텐츠의 목적은 (3분 10초 만에 지식 얻기)

 

- 이걸 몰라? 경제용어 90가지(초보자용)-

 

금리?

 

요즘 자꾸 주위에서 금리금리 라는데 뭘까?

 

 

 

 

?????????????????????????????????????????????????????????????????????????????????? 

 

 네이버 지식 백과인데 경린이었던(물론 지금도) 내가 봐도 뭔 소린지 잘 모르겠다.

성인들도 금리의 원리를 모르는 사람이 많고 국제화폐와 연동되면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린 최대한의 겉핥기만 하자

금리
金(금금)利(이로울리)
2줄요약

 

금리는 '돈의 값' 즉,
금리가 높다 = 그 나라 돈의 가치가 높다는 것

 

 

그냥 요약하자면 금리는

돈의 가격이라고 보면 편할 거 같다

 

그럼 이제 금리에 대해 장단점 고고

금리가 낮을 때 (장점)

1 돈을 빌릴 때 이자를 덜 냄
2. 그럼 사람들이 막 돈을 빌림 왜냐? 빌려도 금리가 낮으니까 싸게 싸바싸바 가능
3. 그러면 사람들이 막 돈을 빌려서 주식, 부동산, 기업투자에 막 가능 그럼 경제활성화 

 

반대로

 

금리가 낮을 때 (단점)

1. 은행에 적금, 예금 넣는 사람들이 손해.. 금리에 따라 변동되기에 이자율이 낮아짐
2. 금리가 낮은 거는 사람들이 돈을 많이 빌린 거니까 한국에 돈이 많이 풀려 가치가 하락!
3. 장기적인 금리가 낮으면 나중에 중앙은행이 금리를 다시 팍팍 올릴 때 이자 감당 불가.

 

이 금리를 결정하는 곳

한국(KOREA):금융통화위원회 매달 회의를 통해 결정

미국(USA): 연준 (FED)

 

 

 

 

▲ 요즈음엔 코로나 때문에 경기가 정말 안 좋죠?

 그래서 금리를 초초 초초 저금리로 낮추어서 경제를 활성화시키려고 하는 거예요

 

 

 

 

 그러면 사람들이 돈을 많이 빌리니까~라는 취지인데.... 

 

 근데 이상한 건 그 돈이 다 주식? 부동산? 에 들어간다?  

 

 근데 또 금리를 낮춰서양적완화(QE)를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부작용이 있지만 

 

여기서 내가 더 포스팅하면 부작용이 생길 거 같아서 바로

 

결론

 금리를 내리게 되면 사람들이 돈을 빌림

1. 물가: 은행에 돈을 넣어봤자니까 밖에 돈이 많이 풀려서 화폐가치 떨어짐 결과: 물가 지속 상승(인플레이션)

1. 주식시장: 예금 적금이 수익률이 낮으니까 주식에 투자해볼까?  결과: 주식 시장 상승

2. 부동산: 매한가지로 부동산 대출받아서 집이나 사볼까? 결과: 집값 상승

 

 

이렇게 경제용어는 가면 갈수록 계속 꼬리를 물면서 단어가 생긴다

걱정 말라 언젠가는 다 포스팅해줄 테이! (궁서)

 

 

 

+ Recent posts